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피싱

    • 긴급 주문 엑셀파일로 위장된 기업 표적 피싱메일 주의!!

      2020.09.24 by 알약1

    • 혹시 내 스마트폰이 해킹되었다면? 증상과 대처방법 알아보기

      2020.09.14 by 알약5

    • 아웃룩 자격 증명 탈취를 목적으로 '사이트 오버레이' 기법 사용해

      2020.09.07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둘째주)

      2020.08.18 by 알약1

    • 허위 결제 내역 정보를 이용한 국내 포털(NATE) 피싱메일 주의!!

      2020.08.07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첫째주)

      2020.08.07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7월 넷째주)

      2020.07.29 by 알약(Alyac)

    • 캡차인증를 이용하는 피싱 메일 주의!!

      2020.07.27 by 알약(Alyac)

    긴급 주문 엑셀파일로 위장된 기업 표적 피싱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기업 담당자의 계정을 노리는 피싱 메일들이 발견되고 있어 기업 담당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Urgent order”라는 제목으로 수신되었으며 긴급하게 주문을 넣었으니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라는 내용으로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여 기업 담당자의 계정을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그림1] 특정 기업 담당자 계정 탈취를 위한 피싱 공격 이메일 화면 사용자가 긴급하게 들어온 주문을 확인하기 위해 첨부 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 할 경우 계정과 패스워드를 가로채기 위한 피싱 페이지가 브라우저로 연결됩니다. [그림2] 브라우저로 동작 된 피싱 페이지 화면 사용자가 피싱 페이지에 기업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할 경우 모두 개인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24. 11:33

    혹시 내 스마트폰이 해킹되었다면? 증상과 대처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중화로 우리는 업무와 일상생활에서 항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커들도 많은 개인정보가 담긴 스마트폰을 타깃으로 하여 공격하는 사건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올해 초 모 국회의원과 연예인이 스마트폰을 해킹당하는 사건도 있었습니다.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생활하는 만큼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해킹을 당했을 때의 피해도 매우 큰데요. 그래서 오늘은 스마트폰 해킹의 종류 및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 해킹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수법은 다양합니다. 오늘은 그 중 대표적인 4가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미싱/피싱으로 인한 악성 앱 및 악성코드 설치 문자나 메신저를 통해 악성 앱의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20. 9. 14. 09:00

    아웃룩 자격 증명 탈취를 목적으로 '사이트 오버레이' 기법 사용해

    Hackers use overlay screens on legitimate sites to steal Outlook credentials Cofense의 연구원들이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자격 증명을 훔칠 목적으로 이메일 격리 정책 관련 피싱 메일을 이용하며 오버레이 스크린 기술을 사용하는 피싱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이 오버레이 스크린은 정식 웹사이트의 윗 부분에 표시되어 피해자의 자격 증명을 수집하도록 속입니다. 전문가들은 익명의 회사를 노린 공격을 조사하던 중 이 새로운 기술을 발견했습니다. 피싱 메시지는 피해자 회사의 기술 지원팀에서 발송한 메시지로 위장했습니다. 해당 이메일은 회사의 이메일 보안 서비스에서 유효한 이메일 메시지 3개를 격리시켰으며 이를 확인할 것을 요청하고 있었습니다. 이 메시지는..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7. 14:0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8월 9일~8월 15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337건이고 그중 악성은 103건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지난주 140건 대비 37건(37%)이 감소한 수치입니다. 일일 수집량은 하루 최저 25건(악성 1건)에서 최대 76건(악성 34건)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 103건 중 Attach-Malware형이 8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9%를 차지했습니다. 3. 첨부파일 종류 첨부파일은 ‘Dow..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8. 18. 17:47

    허위 결제 내역 정보를 이용한 국내 포털(NATE) 피싱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국내 대형 포털 사이트 계정을 노리는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메일은 “확인 바랍니다 입금”라는 제목으로 전파되었으며, 전자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결제된 내역이 담긴 “TT.doc (25K).htm” 파일이 첨부되어 수신자의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림 1] 국내 포털 사이트 계정을 노리는 피싱 메일 화면 피싱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TT.doc”로 doc의 문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htm” 문서로 파일 실행 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피싱 페이지를 보여주게 됩니다. [그림 2] 국내 포털 사이트 피싱 페이지 화면 피싱 사이트에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개인정보 수집 사이트로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8. 7. 14:33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첫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7월 26일~8월 1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384건이고 그 중 악성은 84건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지난주 96건 대비 12건(-0.12%)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일일 수집량은 하루 최저 19건(악성 1건)에서 최대 84건(악성 33건)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 84건 중 Attach-Malware형이 75%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13%를 차지했습니다. 3. 첨부파일 종류 첨부파일은 ‘Down..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8. 7. 13:56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7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지난주에 이어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공유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7월 19일~25일까지의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352건이고 그중 악성은 96건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지난주 103건 대비 7건(-0.06%)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일일 수집량은 하루 최저 3건(악성 1건)에서 최대 85건(악성 23건)으로 주로 평일에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 96건 중 Attach-Malware형이 76%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14%를 차지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7. 29. 09:00

    캡차인증를 이용하는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 사용자가 사람인지 기계인지 구분해 주는 캡차(CAPTCHA) 인증 기술을 이용한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메일은 “New VM (28 seconds) processed on July 21, 2020, 2:40:09 PM”라는 제목으로 전파되었으며 새로운 음성 메시지로 보이는 “AudioMessage.htm” 파일이 첨부되어 수신자의 파일 실행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림 1] 새로운 음성 메시지를 가장한 피싱 메일 화면 피싱 메일에 첨부된 파일(htm)을 실행 시 계정과 비밀번호를 가로채기 위한 피싱 사이트로 리디렉션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를 안심시키기 위한 캡차 인증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7. 27. 16:4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