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PMS

    • 이스트시큐리티 보안툰 #27|기업 보안 담당자가 패치 관리를 간편하게 해결하는 방법

      2025.04.10 by 알약5

    • 알약 패치관리 솔루션으로 사내 PC Windows OS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2023.02.27 by 알약5

    • MS Offic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8570) 주의!

      2017.08.07 by 알약(Alyac)

    • 취약점 악용 공격에 효과적인 방패, 패치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2017.07.28 by 알약(Alyac)

    • 엔드포인트 보안의 빈틈, 통합 관리가 필요해

      2017.06.07 by 알약(Alyac)

    • 소 잃기 전에 외양간 고치기,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몇 가지 방법

      2017.04.12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안드로이드 OS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취약점 발견

      2014.03.27 by 알약(Alyac)

    이스트시큐리티 보안툰 #27|기업 보안 담당자가 패치 관리를 간편하게 해결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미리 패치 공지도 하고 설치 안내도 보냈는데... 또다시 누락, 결국 이번 주도 야근.' 혹시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있진 않으신가요? 기업 보안 담당자라면 오늘의 보안툰에 주목해 주세요. 작은 보안 패치 하나의 누락이 큰 사고로 이어지는 일, 이제는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하지만 매번 수작업으로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임직원에게 일일이 독려하는 방식으론 이 반복되는 악순환을 끊을 수 없죠. 지금 필요한 건 자동화된 패치 관리! 빈틈없는 엔드포인트 보안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해결책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이스트시큐리티 문의하기 : 바로가기📌알약 패치관리(PMS) 자세히 보기 : 바로가기

    보안툰 2025. 4. 10. 17:00

    알약 패치관리 솔루션으로 사내 PC Windows OS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사내 PC Windows OS 업그레이드, 다들 어떻게 진행하고 계신가요? USB 반출, 진행 현황 파악 등 여러 번거로움 때문에 윈도우 업그레이드가 고민되신다면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패치관리(PMS) 솔루션의 Windows OS 업그레이드 기능을 추천합니다. 알약 패치관리 솔루션을 활용하여 사내 PC Windows OS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 📌 제품문의 : https://www.estsecurity.com/enterprise/support/contact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23. 2. 27. 09:00

    MS Offic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8570) 주의!

    2017년 7월, MS의 정기 보안업데이트 리스트 중에는 Microsoft Office 취약점인 CVE-2017-8570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MS Offic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으로, Microsoft PowerPoint가 실행될 때 "Script" Moniker 개체에 대해 초기화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또한 PowerPoint 가 실행되는 과정중에 해당 개체를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sct 스크립트(Windows Script Component)를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공격자는 사용자에게 해당 취약점이 존재하는 PPT를 파일을 전송함으로서, 현재 사용자 권한과 동일한 코드실행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해당 취약점 exploit이 인터넷에 공..

    국내외 보안동향 2017. 8. 7. 16:32

    취약점 악용 공격에 효과적인 방패, 패치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2016년 네트워크 보안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공격자가 운영체제에 침입하기 위해 공격하는 주요 매체 경로를 '자바 취약점'에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취약점'으로 옮겨간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최근 발생하는 악성코드 공격의 대부분은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악성코드 유포 경로... 공격자는 '취약점'을 노린다. 취약점이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버그나 설계상 결함을 의미합니다. 공격자는 취약점을 통해 타겟 PC의 제어 권한을 획득하거나 서비스 거부 공격 등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은 보통 알려진 취약점과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으로 분류됩니다. 알려진 취약점들은 사용자 보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패치들이 계..

    전문가 기고 2017. 7. 28. 14:28

    엔드포인트 보안의 빈틈, 통합 관리가 필요해

    일반적인 엔드포인트 영역의 사용자(End User, 이하 사용자)들은 보안에 대한 관심이 적은 편입니다. 언론 매체를 통해 위협적인 공격이나 치명적인 피해 사례를 꾸준히 보도해도, 그들 자신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안이한 보안 의식은 엔드포인트 영역에서 미처 관리하지 못한 작은 구멍을 만들어 냅니다. 분명한 사실은, 그 작은 취약점으로 인해 전체적인 보안이 너무도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실은 이미 여러가지 침해 사고를 통해 증명된 부분이며, 지금 이 순간에도 그러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공격자는 엔드포인트 보안의 열쇠를 노린다 엔드포인트 영역은 저마다의 강력한 자물쇠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대한 열쇠를 갖고 있습니다. 그 열쇠들이 잘 관리된다..

    전문가 기고 2017. 6. 7. 10:56

    소 잃기 전에 외양간 고치기,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몇 가지 방법

    소 잃기 전에 외양간 고치기,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몇 가지 방법 “사상 최대 규모의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건, 3.20 사이버테러, 야후 서버 해킹…”보안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 그 공격의 시발점에는 거의 항상, ‘보안 취약점’이 있었습니다. 공격자는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감염시키기 위해 다양한 보안 취약점을 찾습니다. 보안이 취약한 소프트웨어는 공격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타겟이 됩니다. 일례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는 보안 취약점을 다수 보유하여 Angler, Magnitude, Neutrino, RIG, Nuclear Pack, Spartan 익스플로잇 키트들의 주요 타겟이 되었고, 이는 많은 피해 사례로 연결되었..

    전문가 기고 2017. 4. 12. 09:12

    [해외보안동향] 안드로이드 OS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취약점 발견

    Android OS Update Process Vulnerable to Exploitation 안드로이드 OS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취약점 발견 출처: Hot for Security 안드로이드의 시스템 업데이트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유형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민감정보 탈취, 보안 설정 변경, 주요 시스템 서비스 설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한 익스플로잇 공격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드로이드 패키지 관리 서비스(Android Package Management Service, PMS)에 숨어 있는 ‘Pileup(다중 충돌)’ 이라는 결점은 악성 앱이 새로운 시스템과 낮은 OS 버전에서 사용된 퍼미션을 획득하고 악성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 앱이 안드로이드 2..

    국내외 보안동향 2014. 3. 27. 17: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