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첨부파일

    • 독특한 스타일의 피싱 메일 주의!

      2018.12.12 by 알약(Alyac)

    • 국내 포털 사이트의 계정 확인 안내로 위장한 PDF 첨부 파일 주의

      2018.02.07 by 알약(Alyac)

    • '차량 법규 위반 과태료 통지서'로 위장한 '오토크립터' 랜섬웨어 국내 다량 유포 주의

      2017.05.29 by 알약(Alyac)

    • 악성코드가 삽입된 HWP 파일 유포 중!

      2017.05.23 by 알약(Alyac)

    • OLE 패키지로 악성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문서파일 주의

      2017.04.28 by 알약(Alyac)

    • PDF 첨부파일 기능을 악용하여 매크로 악성파일을 유포하는 새로운 방식 발견돼

      2017.04.21 by 알약(Alyac)

    • 더 이상 Gmail을 통해 JavaScript 파일을 보내는 것이 불가능해져

      2017.02.21 by 알약(Alyac)

    • Cerber 랜섬웨어 Dridex 봇넷으로 급증

      2016.05.17 by 알약(Alyac)

    독특한 스타일의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영수증이나 배송관련 메일로 위장하여 유포되고 있는 피싱 메일들이 끊임없이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독특한 스타일의 피싱메일이 발견되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계정 보안으로 위장한 국내 포털 피싱 메일 주의!!▶ 임금체불 관련 출석요구서로 사칭한 갠드크랩 랜섬웨어 감염 주의▶ 해외 배송장으로 위장한 국내 포털 피싱 메일 주의!!▶ 매크로를 이용한 송장 관련 악성 메일 유포 주의▶ [업데이트][주의] 견적서를 위장한 악성메일 지속적으로 유포중! 사용자들의 주의 필요▶ 특정 기업의 프로젝트 파일처럼 위장한 악성 메일 유포 주의▶ 국내 실제 기업명을 사칭한 악성 메일 유포 주의 이번에 발견된 피싱 메일은 영수증 메일을 위장하고 있습니다. 해당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2. 12. 14:26

    국내 포털 사이트의 계정 확인 안내로 위장한 PDF 첨부 파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국내 포털 사이트의 계정 확인 안내'로 위장한 피싱 메일이 국내에서 유포되고 있어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계정 종료를 방지하기 위해 계정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한 인증 링크를 클릭하라는 내용과 함께 Inv.pdf 첨부 파일을 담고 있습니다. [그림 1] 포털 사이트 계정 확인 안내 피싱 메일 본 메일에서 공격자는 본문의 'Vaildate mail Account, Neglect Shut Down' 링크, 첨부 파일 모두 동일한 사이트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용자가 호기심에 첨부된 PDF 파일을 다운받아서 실행할 경우, 흐릿한 이미지를 나오면서, 선명하게 보기 위해 View 버튼 클릭을 유도합니다. View 버..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2. 7. 17:21

    '차량 법규 위반 과태료 통지서'로 위장한 '오토크립터' 랜섬웨어 국내 다량 유포 주의

    '차량 법규 위반 과태료 통지서'로 위장한 '오토크립터' 랜섬웨어 국내 다량 유포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최근 경찰서에서 보낸 '과태료 부과 고지서'인 것처럼 위장된 이메일에서 '오토크립터(AutoCryptor)' 랜섬웨어 변종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긴급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는 이번에 발견된 경찰서 사칭을 통해 유포된 오토크립터 랜섬웨어 역시 지난 페덱스 사칭 사례와 마찬가지로 나름 정교하게 작성된 한글 이메일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다양한 내용을 토대로 랜섬웨어를 유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관련 글 - 글로벌 특송업체 '페덱스' 배송팀을 사칭한 '오토크립터' 한국형 랜섬웨어 확산! ( ▶바로가기 ) '과태료부과 사전 통..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5. 29. 17:14

    악성코드가 삽입된 HWP 파일 유포 중!

    악성코드가 삽입된 HWP 파일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법인(개인)혐의거래보고내역'과 '납세담보변경요구서'로 위장한 악성 HWP파일이 발견되었습니다. 사용자 분들의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이 HWP 파일은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되는 이른바 스피어피싱 공격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림 1] 악성 HWP파일 실행 시 나타나는 화면 파일명 법인(개인)혐의거래보고내역.hwp 납세담보변경요구서.hwp 유형 한컴오피스 한글 2010 문서 한컴오피스 한글 2010 문서 크기 892KB 927KB 작성자 팀장1 와우폼(www.wowform.com) 마지막 작성자 jikpurid Administrator 만든 날짜 2017-05-22 오전 7:47 2017-05-16 오전 00:4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5. 23. 17:48

    OLE 패키지로 악성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문서파일 주의

    OLE 패키지로 악성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문서파일 주의 MS Office 제품군은 일반 및 기업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주요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는 최근 MS 오피스 문서에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패키지와 같이 객체를 삽입해 실행을 유도하고, 타 호스트에서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해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기법의 악성코드가 이메일 첨부파일 형태로 유포 중인 것을 위협 관제 중 발견했습니다. 이는 MS 오피스 워드 매크로 방식이 아닌 점에서 주목되고 있습니다. 공격자는 이메일을 통해 온라인 거래가 중지되었으니, 첨부된 DOCX 리포트 파일을 검토해보라는 영문 내용과 함께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악성 문서를 첨부하였습니다. [그림 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4. 28. 15:11

    PDF 첨부파일 기능을 악용하여 매크로 악성파일을 유포하는 새로운 방식 발견돼

    PDF 첨부파일 기능을 악용하여 매크로 악성파일을 유포하는 새로운 방식 발견돼 오피스 매크로를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은 이미 오래 전부터 기승을 부려왔습니다. 이에 따라 백신 회사들은 문서를 통한 감염을 예방하고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 백신의 탐지를 우회하기 위한 새로운 악성파일 유포 방식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는 제록스(Xerox) 스캔 문서를 위장한 PDF파일을 첨부하여 이메일 형태로 악성파일을 배포합니다. [그림 1] 제록스 스캔 문서를 위장한 PDF파일이 첨부된 이메일 악성 매크로가 포함된 문서를 직접 첨부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PDF 파일만이 첨부되어있기 때문에 수신자는 별다른 의심 없이 이 파일을 실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4. 21. 15:57

    더 이상 Gmail을 통해 JavaScript 파일을 보내는 것이 불가능해져

    더 이상 Gmail을 통해 JavaScript 파일을 보내는 것이 불가능해져Sending JavaScript Files over Gmail No Longer Possible Gmail에서 더이상 JavaScript 첨부파일을 보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몇주 전 Google은 최근 몇년동안 JavaScript 파일에 너무 많은 악성코드들이 숨겨져있는 것이 발견 되어 보안 조치의 일환으로 Gmail을 통한 JavaScript 첨부파일 발신을 금지하였습니다. 이제 Gmail에서 JavaScript 첨부 파일을 보내거나, 예전 이메일에서 JavaScript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려고 시도하면 “보안상의 이유로 차단 됨”이라는 새로운 경고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구글은 이번에 차단한 JavaScript를 포함하여..

    국내외 보안동향 2017. 2. 21. 17:53

    Cerber 랜섬웨어 Dridex 봇넷으로 급증

    Cerber 랜섬웨어 Dridex 봇넷으로 급증CERBER RANSOMWARE ON THE RISE, FUELED BY DRIDEX BOTNETS Fireeye는 지난 4월부터 스팸을 통해 유포되는 Cerber 랜섬웨어가 급증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들은 Cerber 랜섬웨어의 급증이 Dridex 금융 악성코드와 동일한 스팸구조를 띄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Cerber 랜섬웨어는 2월 경 처음 발견되었으며, 랜섬 텍스트 메시지를 읽어주는 랜섬웨어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기존에는 Adobe Flash Player내 제로데이 취약점(CVE-2016-1019)을 이용한 Magnitude 및 Nuclear 익스플로잇 킷을 이용하여 유포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Cerber가 Dridex 봇넷과 연계된 스팸공격..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17. 09: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