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격

    • ‘MethBot’ 광고 조작 운영자, 매일 5백만 달러 벌어들여

      2016.12.22 by 알약(Alyac)

    • Shamoon wiper 악성코드, 복수를 위해 다시 돌아와

      2016.12.02 by 알약(Alyac)

    • 단 한 대의 컴퓨터로 거대한 서버들을 다운시킬 수 있는 BlackNurse 공격 발견

      2016.11.15 by 알약(Alyac)

    • 악성파일이 숨겨진 VMware크랙 버전, 토렌트를 통해 유포 중

      2015.06.17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JavaScript를 기반으로 한 DDoS 공격

      2015.06.15 by 알약(Alyac)

    ‘MethBot’ 광고 조작 운영자, 매일 5백만 달러 벌어들여

    ‘MethBot’ 광고 조작 운영자, 매일 5백만 달러 벌어들여'MethBot' Ad Fraud Operators Making $5 Million Revenue Every Day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광고 조작 공격이 발견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규모의 디지털 광고 뷰 조작을 통해 해커 그룹이 미국 브랜드와 언론들로부터 매일 3백만~5백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라인 조작 공격에 대응하는 기업인 White Ops는 새로운 광고 조작 캠페인을 발견해 “Methbot”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공격 기법은 매일 3억 회 이상의 가짜 영상 광고 뷰 횟수를 자동 생성해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이버 범죄 조직인 AFT13는 광고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실행하고, 완료하는데 필..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2. 22. 15:52

    Shamoon wiper 악성코드, 복수를 위해 다시 돌아와

    Shamoon wiper 악성코드, 복수를 위해 다시 돌아와Shamoon wiper malware returns with a vengeance Shamoon 악성코드가 새로운 배포 방식을 통해 사우디 아라비아의 조직 다수를 공격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지난 2012년, Saudi Aramco와 에너지 회사들의 하드 드라이브 파일을 삭제한 바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이를 “매우 신중하게 계획된 작전”이라 말했습니다. Shamoon 악성코드의 변종은 2012년 공격에 사용된 버전과 거의 유사하지만, 악성코드가 표시하는 메시지를 변경한 점이 특징적입니다. 과거에는 악성코드 유포의 확산을 위해 불타고 있는 성조기의 이미지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터키에서 그리스로 넘어오려고 시도하다가 익사한 3살배기 시리아 난민..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2. 2. 15:35

    단 한 대의 컴퓨터로 거대한 서버들을 다운시킬 수 있는 BlackNurse 공격 발견

    단 한 대의 컴퓨터로 거대한 서버들을 다운시킬 수 있는 BlackNurse 공격 발견Even A Single Computer Can Take Down Big Servers Using BlackNurse Attack TDC Security Operations Center의 연구원들이 제한적인 리소스를 가진 공격자가 거대한 서버들을 오프라인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공격 기술을 발견했습니다. 해당 기술은 BlackNurse 또는 낮은 확률의 “Ping of Death” 공격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이는 특별히 제조한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ICMP) 패킷 또는 Cisco, Palo Alto Networks 등의 방화벽으로 보호된 서버의 프로세서를 뒤덮는 ‘핑’들을 보내어..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1. 15. 17:06

    악성파일이 숨겨진 VMware크랙 버전, 토렌트를 통해 유포 중

    악성파일이 숨겨진 VMware크랙 버전, 토렌트를 통해 유포 중 2015년 06월 15일, 회원제로 운영 중인 국내 특정 토렌트 사이트에서 최신버전의 VMware Workstation 파일로 위장한 악성파일이 업로드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해당 게시물은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에게 계속해서 노출되고 있습니다. 토렌트를 통해 유포 중인 악성 VMware 공격 절차 토렌트 파일에는 설치용 등록번호를 포함해 불법 이용자들을 현혹시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토렌트 관련 커뮤니티 간에 토렌트 파일이 공유되는 경우가 많아 다운로드 연결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같이 토렌트 등 불법으로 무단 배포되는 상용 프로그램에는 악의적인 의도로 은밀하게 숨겨진 보안위협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5. 6. 17. 10:35

    [해외보안동향] JavaScript를 기반으로 한 DDoS 공격

    JavaScript를 기반으로 한 DDoS 공격 DDoS란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의 약자로, DoS공격이 발전된 형태입니다. DDoS 공격은 공격자 수에서 Dos 공격과 가장 큰 차이가 있습니다. DoS 공격은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특정 서버에 수많은 접속시도를 하는 것이며, DDoS 공격은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특정 서버에 적게는 한 번에서 많게는 수 만번의 접속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DDoS 공격의 방어 기술과 장비들이 발전하면서, DDoS 공격 방법도 함께 진화하고 있습니다. 초창기의 DDoS 공격이 악성코드에 감염된 좀비 PC들(봇넷)을 이용했다면, 최근에는 NTP, SNMP, DNS 등을 활용한 증폭 공격 등 그 방식이 점차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 Gi..

    국내외 보안동향 2015. 6. 15. 16: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