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POST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유심 정보 유출 사고 발생! 지금 꼭 알아야 할 필수 보안 Tip 공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최근 SKT에서 발생한 악성코드로 인한 고객의 유심(USIM) 관련 정보 유출 사고가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많은 분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유심은 휴대폰의 ‘신분증’과 같은 역할을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유심 정보가 유출될 경우 전화번호, 문자, 통화 기록까지 모두 노출될 수 있어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특히 대포폰 개통, 각종 서비스의 2차인증 우회, 심 스와핑(SIM SWAPPING)으로 인한 가상/금융 자산 탈취 및 개인과 기업의 계정 및 Password 탈취 등 다양한 2차 피해로 확산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유심 정보 유..
2025.04.28 11:32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통합보안 솔루션 '알약 XDR' 도입 가이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오늘날 기업과 기관이 직면한 사이버 위협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하고 위험해졌습니다. 랜섬웨어, APT 공격, 내부자 위협 등이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지만, 개별 솔루션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보안팀의 업무 부담은 늘어나고, 정작 중요한 위협은 놓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죠. 현대 보안 환경에서는 단일 솔루션만으로 모든 위협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엔드포인트, 네트워크, 이메일, 클라우드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침투하는 지능형 위협에는 통합 관제와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변화하는 보안 위협 환경에 대한 고민부터 통합보안 전략 수립을 위한 ‘알약 XDR’ 핵심 포인트까지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실제 도입과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사이트와 가이드를 담았..
2025.04.22 16:45 -
스미싱 알림
넷플릭스 : 계정제한 전 마지막 경고입니다. 24시간 이내에 infos-a*****ts.com에서 정보를 확인해주세요
[4월 넷째주]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특이 문자 No.문자내용1[국제발신][경찰청교통(이파인)] 사전통보문자가 도착하였습니다. 상세내용 hxxp://x.iu**.w**e 2[국제발신][경찰청민원24] 사전통지서가 전송되었습니다. 자세내용 hxxp://p.e**a.d**3넷플릭스 : 계정제한 전 마지막 경고입니다. 24시간 이내에 infos-a*****ts.com에서 정보를 확인해주세요4[국외발신] Telegram 계정이 삭제되지 않도록 지금 바로 인증을 완료해주세요. hxxps://t.ly/t****G 출처 : 알약M 기간 : ..
2025.04.25 09:45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영화 속 보안 이야기] 영화로 보는 사이버 위협과 통합보안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영화 속 사이버 테러 장면이 현실의 보안 위협을 예견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한때는 "영화적 상상력"으로 치부되던 디지털 재앙 시나리오가 오늘날 기업과 국가 보안 담당자들의 현실적 고민이 된것인데요. 최근 급증하는 랜섬웨어 공격, 공급망 해킹, 국가 기반시설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보다 더 복잡하고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액션과 스릴 넘치는 영화 속 사이버 공격 시나리오를 통해 실제 보안 환경에서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보안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기업 및 기관이 갖춰야 할 통합보안 기술 전략을 제안드리겠습니다. 1. 영화 속 디지털 사회를 위협하는 '파이어 세일' 사이버 테러리스트에 맞서는 전직 경찰 존 맥클레인의 이야기 정부의 ..
2025.04.04 11:34 -
전문가 기고
2025년 1분기 알약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건수 총 63,909건!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 대응센터(ESRC)입니다. 2025년 1분기 자사 백신 프로그램 ‘알약’에 탑재되어 있는 ‘랜섬웨어 행위기반 사전 차단’ 기능을 통해 총 63,909건의 랜섬웨어 공격을 차단했으며, 이를 일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일 평균 694건의 랜섬웨어 공격이 차단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개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무료 제공하는 공개용 알약 백신프로그램의 ‘랜섬웨어 행위기반 사전 차단 기능’을 통해 차단된 공격만을 집계한 결과입니다. 다음은 ESRC에서 선정한 2025년 1분기 주요 랜섬웨어 동향입니다. 1) RansomHub, 새로운 맞춤형 백도어 Betruger 사용 2) 1분기 새로 등장한 RaaS 3) CISA, FBI, MS-ISAC, Gho..
2025.04.14 10:56